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싱크홀 사고 왜 자꾸 일어나는 걸까?

by lilac777 2025. 3. 29.
반응형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로 인해 싱크홀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싱크홀의 발생 원인, 위험성, 추가 발생 가능성, 국내외 사례, 그리고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싱크홀이란?

싱크홀은 지반이 갑자기 침하하여 땅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자연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싱크홀의 발생 원인

  1. 지하수의 흐름 변화: 집중호우나 지하수 유출로 인해 토양이 씻겨 내려가면서 지하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지반이 침하할 수 있습니다.
  2. 지하 굴착 공사: 지하철, 상가, 하수도 등 지하 개발 과정에서 굴착 공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지반이 약화되거나 빈 공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굴착 과정에서 지반이 제대로 다져지지 않거나 지하수의 흐름이 바뀌면 싱크홀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3. 노후화된 지하 시설물: 상·하수도관 등의 노후화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면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고, 이로 인해 지반이 침하할 수 있습니다. 

▶싱크홀의 위험성

싱크홀은 예고 없이 발생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심 지역에서 발생할 경우 교통 마비, 건물 붕괴 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사고 발생 가능성

서울은 난개발로 인해 지반이 약화된 지역이 많아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송파구, 양천구 등은 20~30m 깊이의 흙을 매립하여 택지 개발을 한 지역으로,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는 추가적인 싱크홀 발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국내 싱크홀 발생 현황

국토안전관리원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지반침하 161건 중 77건이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굴착공사 부실로 인한 사례도 13건에 달합니다.  이는 지하 시설물의 관리와 공사 시 안전 조치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해외 사례

해외에서도 싱크홀은 빈번하게 발생하며, 그 원인과 피해 규모는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플로리다 주는 석회암 지반 위에 위치하여 자연적인 싱크홀이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한 주택 붕괴 등의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중국 광저우에서는 지하철 공사 중 지반 침하로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여 차량이 빠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특별취재팀=강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661809

▶싱크홀 발생 시 주의사항

  1. 즉시 대피: 싱크홀이 발생하거나 발생 조짐이 보이면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2. 신고: 관계 당국에 즉시 신고하여 추가 피해를 방지해야 합니다.
  3. 접근 금지: 호기심으로 싱크홀 주변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절대 삼가야 합니다.
  4. 차량 이동 시 주의: 도로에서 싱크홀이 발생한 경우, 차량 운전자는 주변 도로의 침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회하거나 서행해야 합니다.

▶예방 대책

  1. 지하 시설물 정기 점검: 상·하수도관 등 지하 시설물의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누수를 방지해야 합니다.
  2. 지하 공사 관리 강화: 지하 굴착 공사 시 지반 조사와 안전 관리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지반 약화를 방지해야 합니다.
  3. 지하수 관리: 지하수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변화가 감지되면 즉시 대응해야 합니다.
  4. 시민 교육: 싱크홀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싱크홀은 예측이 어려운 자연재해 중 하나이지만, 철저한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통해 그 위험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시민들과 관계 당국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